본문 바로가기

BRITISH CERAMICS/도자기로 보는 인생

도예가가 말하는 중금속 도자기

<참고: 이 글은 저의 도예가로서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출처가 명시되지 않은 부분은 주관적인 부분도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도자기와 납

도자기와 납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생각해 보셨나요?

얼마전에 불만제로에서 방영한 중금속 도자기 때문에 충격받은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왠 도자기에 납? 하시는 분들이 있으셨을 텐데요. 사실 도자기와 납은 역사적으로 뗄레야 뗄수가 없는 관계입니다. 방 송을 보니 판매하시는 분도 도자기는 다 흙인데..하시면서 유약에 대한 부분은 생소하신 것 같았어요. 그것도 그것이 판매하시는 직원 분들이 도자기를 직접 만들어 보지 않고야, 혹은 도자기 공장 견학을 해서 교육을 받지 않고서야 힘든 부분이지요.

예전에 '불의 여신 정이'가 방영되었을 때 '복사꽃'을 가마를 구울때 옆에서 같이 태웠다고 해서 다 구워진 그릇에 복사꽃 알러지가 있는 사람이 먹고 쓰러진 에피소드가 있었습니다. 도예가로서 너무 황당해서 말도 안되는 이야기라서  그냥 넘어가고 웃고 말았는데, 오늘은 제가 얼마전에 방영된 프로그램으로 혼란 스러워 하실 분들에게  조금은 더 쉽게 설명 보태고자 이렇게 몇자 적어봅니다. 저도 화학자는 아니기 때문에 완전 전문가는 아니고 또 '납'을 연구 하는 사람은 아님을 다시 한번 밝힙니다. 평범한? 도예가 입니다. 그래도 그동안 제가 가지고 있던 지식과 경험을 살려 가뭄에 콩날때 마다 들러 주시는 분들을 위해 그냥 수다 떤다고 생각하고 몇자 적어봐요. 



납을 사용한 도자기들

납을 사용한 도자기는 전통적으로 한국에는 없습니다.(적어도 저의 앝은 지식 안에서는)

당삼채 라고 들어 보셨나요? 예전에 국사 시간에 세가지 색의 유약을 기물에 뿌려서 옷을 입힌다고 해서 삼채. 당나라 때 부터 만들었다고 해서 당. 당삼채라고 배웠던 기억이 납니다. 물론 이 당삼채 대부분은 부장용이 많았죠.

'당삼채(唐三彩)는 중국 당대의 도기로 삼채 유약을 사용한 것을 말한다.

주로 장안·낙양 귀족들의 장례용으로 제작되었고, 묘릉에 부장되었다. 도질(陶質)의 소지에 화장한 다음 녹·갈·황·백의 연유로 화려하게 칠하였으며, 또는 코발트의 남유(藍釉)를 칠한 것도 있다.( 출처 여기)'



<사진여기여기>


당시의 도자기는 낮은 온도에서 구워진 도기(도자기는 도기와 자기의 합친 말!)였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도 불 속에서 녹는 유약이 필요했는데요 그게 바로 납이 들어간 유약 이었습니다. 사실 납유는 한시대(B.C 207~A.D 220)부터 사용이 되었는데 자기의 기술이 화려하게 꽃 피우기 몇 백년 전, 아니 천년전에 도기와 저화도 유약은 안성맞춤이었지요.

높은 온도로 기물을 소성하기위해서는 많은 나무들이 필요했을 거잖아요? 그렇게 때문에들어가는 나무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낮은 온도에서도 짜잔~~~ 구워지는 흙과 유약이 필요했을 거예요.


가마 온도 = 들어가는 나무양 = 돈


그래서 유약의 온도를 마법처럼 낮추어 물질을 찾다가 납을 발견하게 된 거예요. 하지만 당시에 납 중독이라는 것을 알리도 없었고 납을 사용했던 도공들도, 사용하는 사람들도 몰랐을 ㅜㅜ 그래서 납중독으로 많이 죽게 되었다고 하네요. 납을 사용한 이유는 아래와 같은데요.



역사적으로 납이 들어간 도자기를 만들었던 이유 

1. 소성 온도를 많이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2. 유약의 표면이  더 광택이 나고 반질 반질 합니다. 일반 유약도 반질반질 하죠 당연히.

3. 에나멜( 유약 소성 후에 사용하는 색소)이나 데칼의 색의 선명도가 더 살아납니다.


화면으로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ㅜ 저라면 저렇게 납이 있는 그릇을 손으로 잡고 있지는 않을 것 입니다.


<사진 출처- 불만제로 업>

그럼 에나멜이 무엇이냐? 


에나멜은 한마디로 수채화를 그리려면 수채화 물감을 사고 유화를 그리려면 유화 물감을 사듯이 도자기 물감으로 생각하시면 편해요. 하지만 전통적으로 물이 아닌 기름에 섞어서 발랐지요. 에나멜은 그 대신 파우더로 파는데요, 이 파우더에 기름을 조금씩 섞어서 그때 그때 쓰는 물감이랍니다~


지 금도 에나멜(enamel)을 사면 무연 에나멜 Leadless Enamel 과 유연 에나멜 Lead Enamel로 나누어 진 것을 살 수 있어요. 그래도 지금은 많이 무연 에나멜인 경우가 많은데 어떠한 색은 납성분이 들어간 에나멜을 아직도 팔고 있어요. 그래서 저는 무조건 납 안들어 간 것으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거의 도자기 하는 사람들은 내가 죽어서라도 이 작품을 만들겠다! 하는 의지가 있지 않는 한 납 성분 들어간 재료는 안쓰는 것이 상식이죠. 특히 그릇을 만들경우 거의 99.999999999%입니다. 아무리 무연 유약을 써서 그릇을 만들어도 꽃장식 같은... 나중에 유약 씌어진 그릇 위에 장식을 할 때 유연 에나멜 쓰면 아무런 소용이 없어요 ㅜ

지만 제 기억으로는 요즘에는 납이 들어간 에나멜이 그리 싼 것도 아닙니다.



그러면 장식이 들어간 도자기는 다 피해야 할까요?

NO 아닙니다!

도자기 표면에 장식을 할 때는 크게는 두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지는데 하나는 Underglaze(하회)라고 해서

흙으로 기물을 만든 후 초벌 -장식(underglaze/stain/oxide로 장식) - 유약 - 재벌 으로 가는 경우가 많아요.

온도는 개인별로 천차 만별인데 한국의 경우를 보면 초벌(700~800도)과  재벌(1250~60도)로 굽기 떄문에 이미 유약에서 몸에 해로운 성분을 썼더라도 높은 온도 때문에 다~~날라가는 온도가 됩니다.


다른 하나는 Onglaze(상회)라고 해서 

초벌 - 유약 - 재벌 - 장식( 보통은 enamel 사용) - 삼벌(800도)

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보시면 섭씨 800도가 가장 마지막에 떼는 온도가 되는데 만약에 납이 들어간 에나멜을 썼다면 800도에는 여전히 납이 남아 있겠죠. 판박이 처럼 전사(decal)을 붙여서 장식하는 방법에 납이 들어간 연료를 사용할 수도 있고요. 보통 공장에서 나오는 그릇들은 거의다 이렇게 전사를 이용해서 꽃과 과일 기타 등등을 장식을 하죠. 하지만 무연 에나멜을 씁니다. 유연 에나멜을 썼다면 식기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배웠습니다만! 저는 아예 납 들어간 에나멜을 사지도 않습니다...

보통 본차이나(Bone China)을 생산하는 공장들(주로 공장제품은 본 차이나가 많아요) 본 차이나 흙의 성질에 맞게 초벌을 고온 소성(1250도) 합니다. 그 후에 유약을 바르고 낮은 온도로 가마에 넣어 굽습니다. 개인 공방에서 만들어진 도자기들(적어도 한국에서 대부분이)이 소성을 하면서 더욱 높은 온도로 가는 반면 공장 도자기들은 점점 낮은 온도에서 작품을 완성하게 됩니다. 어떤 것이 좋고 나쁘고가 아니라 흙에 맞는 유약이 다르고 각 유약에 맞는 온도가 다 다르기 때문에 틀린것이 아닌 '다른 것' 일 뿐입니다.


만약에 납 성분이 들어간 에나멜이 의심이 되고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도자기를 원하신다면!

underglaze(하회)로 장식된 도자기가 더 낫죠~ 그럼 이것은 어떻게 아느냐. 물론 전문가 아니면 모르지만 그래도 한번 구분해 보시고 싶다면 장식을 자세히 보세요~

도 자기 장식이 손으로 핸드 페인팅 된 것 같고, 유약 밑으로 장식이 들어가 있느냐? 자세히 관찰해 보시면 됩니다. 만져 봐서 꺼끌꺼끌? 한 느낌이 들고 유약 붙여 있다는 느낌이 들면 당연히 onglaze(상회)입니다. 또 공장에서 만들어진 것들중에 dishwasher proved, 즉 식기 세척기에 넣어도 된 다는 것은 괜찮아요. 보통 onglaze(상회)로 장식된 도자기들은 식기 세척기에 넣지말라고 하거든요.


여담으로 충격적인 것은 ㅜ 아직도 납이 중국의 공장에서는 아무런 제제 없이 사용이 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제 가 직접 본 것은 아니지만 2-3년 전에 중국에서 레지던시를 한 외국 작가가 와서 세미나를 한 적이 있는데  그 때 당시 공장 작업 사진을 보여 주면서 이 말을 언급했습니다. 마스크와 장갑도끼지 않고 그냥 포대 자루에 빨간 납 가루를 그냥 놓고...그렇게 써요.

그 사진을 보면서 저는 몇억을 주어도 절대 그곳에 가고 싶지 않다고 생각한 것이 기억이 납니다. 안타깝게 어느 작가였는지 기억이 안나고 그 사진들만 머리속에 기억이 나요. ㅜㅜ  벌써 몇년전 이야기 이니 바뀔 수도 있겠지만, 여전히 21세기 이야기 였답니다. 


또 다른 여담으로는 제가 영국의 웨지우드에서 인터쉽을 하던 2009년에 다지이너가 웨지우드의 모든 전사지는 한국에서 만들어진다고 했는데, 불만 제로에서 나왔던 그 회사 였습니다. 물론 그 회사분들하고 이야기 나눌 기회가 있어서 그 점에 대해 이야기 했더니 맞다고 하시더라고요. Health and Safety 법을 목숨처럼 지키는 영국인들이 납이 들어간 전사지를 납품 받았을지 의문입니다. Health and Safety 법 뿐만 아니라 공장의 Quality Control 부서에서도 걸렸을 텐데요. 절차 같은 거 철저하기로 소문난 영국이 납 들어간 전사지를 그냥 받아서 썼을까요?


물론 도자기 회사들이 정말 납을 사용을 안했는데 마른 하늘에 날벼락 맡은 가능성도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생산되는 공정을 다시 철저하게 검사하고 오염이 되었다면 어디서 오염이 되었는지 확인해 봐야 할 것 같아요. 유약, 흙, 에나멜이 아닌 운송 과정, 보관, 가마, 기타 등등 요인이 있을 것 같아요. 혹시 공장에서는 납이 안들어간 원재료를 받아 썼는데 원재료가 오염이 된 것 일 수도 있고...뭐.....생각해 보면 많겠죠.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집에 있는 도자기를 다 버리나요?

제가 지금 한국에 있다면 가장 먼저 할 일이 집에 있는 (엄마의 도자기)를 다 저의 도자기만으로만 갈아 치웠을 것...

은 아니고요. 우선 도자기 분류 작업을 시작할 것 입니다. 그래서 더 안전 하다고 느끼는 도자기를 쓰겠죠. 하지만 도자기를 만들어 보지 않으신 분들은 분류하기 힘드니, 다음과 같이 해보면 어떨까 해서 잠시 적어 봅니다. 불만제로 방송이 물론 많은 뉴스와 블로거 들 사이에서 파장을 일으켰지만 개인적으로는 너무 표면만 건들이지 않았나 생각이 되었습니다. 더 자세히 리서치 하고 이유도 파악 했으면 좋았을 텐데요. 납유 전문가가 아니지만 제가 한국에 있는 엄마에게 말한 그대로 한번 적어 봅니다그래서 답답해 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용?


1. 가능하다면 한국에서 만들어진 소규모 도자기 공방 제품을 이용한다.

2. 장식이 신경쓰인다면 화려하지 않은 투박한 한국의 자기, 청자, 분청 등의 기법을 이용한 작품을 사거나 쓴다.

3. 도자기 공장에서 나온 제품 중에서는 장식이 하나도 없는 순수한 하얀색 그릇들을 사거나 쓴다.


아이가 있는 가정이라 더 신경이 쓰이시고 확실히 하고 싶으시다면!

아이의 그릇만이라도 바꾸고 싶으시다면 지역 공방에 가셔서 직접 핸드 메이드 된 제품을 하나 사세요. 아니면 주문을 하세요. 생각보다 비싸지 않습니다. 도예가가 만들고 직접 판매하는 곳 어디라도 좋습니다. 중국이나 다른 나라에서 들여오지 않는 제품을 파는 한국의 어느 소규모 공방일 수록 더 좋고요. 젊은 작가들의 작품은 저렴하게 살 수 있으니 내 아이를 중금속 오염에서 지키는 것이 중요하겠죠.

저의 가족에 아이가 있다면 당장 저는 달려가서 제 작품들로 바꾸어 주겠죠?


<사진 출처- 불만제로 업>

물론 집에 도자기가 백개나 있는데 또 구매하시라는 소리는 아닙니다. 이 포스팅은 결국 .... 집에 있는 것들 중에서 골라 보시라고 조언해 드린 거예요~~방송 보고 초조해 하시면서 플라스틱이나 일회용 쓰시고 있으신 분들이 있을까봐 노심초사 해서 몇줄 적어 본 거죠. 당연히 저의 경험에서 근거한 포스팅이기 때문에 어디에 인용을 하지는 말아주세요~

질문은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www.sunaekim.com


사랑해 주시는 분들 늘 감사합니다.

블로그 스러운 글 솜씨도 없는데 들려서 끝까지 읽어 주시는 분들 사랑을 나누어 드리고 싶습니다.

방명록 남겨 주시는 분들 사랑사랑합니다.